< Image 와 Text 모두 출력 하는 방법 >
먼저 사용할 Image를 xml파일로 만든다
solid : 단색으로 채워 넣습니다.
stroke : 테두리를 그려 넣습니다.
dashWidth와 dashGap은 점선을 그릴 때 사용합니다.
corners : 가장자리를 둥글게 처리 합니다.
padding : 차일드 뷰 와의 간격
res - drawable 폴더안에 shave.xml 파일 생성
MainActivity.Java 클래스를 생성한 후 버튼을 생성한다
setBackgroundResource()에 shape.xml 파일을 설정해준다.
<터치감 살려주기>
위와 같이 background에 이미지에 들어갈 xml 을 적용시켜주면
버튼이 클릭 되었을때
아무 터치 감이 없다.
그저 눌렀다는 반응 하나 없이 클릭이 되기 마련이지..
xml의 Button 에 background = "@drawable/another" 생성
another.xml 들여다 보기
각 상태별로 조건을 두어 이미지를 정의 할수 있다.
android:state_focused
android:state_pressed
android:state_enabled
등의 조건이 있을 수 있다.
@drawable/shape는 위에서 생성한 shape.xml 파일을 버튼의 기본 배경으로 넣어 뒀고
또 한가지 볼 점은 shapechange이다
shapechange는 state_pressed="true" 처럼 눌러졌을때의 배경이 되는 거겠죠.
그 배경을 주황색으로 설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shapechange.xml 파일
#ffa500 을 배경 컬러로 적용하여 주황색 바탕의 화면으로 설정

댓글 없음:
댓글 쓰기